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사찰탐방

구미 도리사 상세보기

구미 도리사

조회 3721

해동최초 가람 태조산 성지 도리사는 선산과 구미의 남북을 꿰뚫고 흐르는 낙동강의 동쪽 구미시 해평면 송곡동 태조산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로 신라 19대 눌지왕대(417)년에 고구려의 승려 아도화상이 불교가 없었던 신라에 포교를 위해 처음 세웠다는 해동불교의 발상지이다.아도화상은 중국에서 현창화상에게 선도를 배워 19세에 자명을 받아 선산 도개부에 있는 모례의 집에서 굴실을 지어 거처하다가 시봉자가 늘어나게 되어 진기승지를 찻아 결암봉불 하던중 이곳에 오색도화가 설중에 만개하여 사호를 도리사라 하니 해동 최초 가람으로 신라불법의 초전법륜지인 것이다.신라 불교 초전법륜지로 성지화된 이곳은 1976년 아도화상이 신라에 불교를 전하려 올 때 모셔온 세존 진신사리가 세존사리탑 보수 공사중 금동육각사리함(金銅六角舍利函)에 봉안되어 발견되었다.금동육각사리함은 8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이 되며 국보 제208호로 지정되어 현재 직지사 성보 박물관에 위탁 소장되어 있다.1968년 봄 아미타 좌상 도금시 불상 밑에서 1731년 영조 7년 때의 중수기가 발견되었으며, 극락전 뜰앞에 있는 보물 470호인 도리사 화엄석탑은 일반적인석탑과도 특이한 양식이다. 그 형태는 여러 개의 석주를 맞대어 기단부를 형성하였고 다시 그 상층부에 중층의 탑신부와 상륜을 배치한 특수형식으로 귀중한 문화재로서 옛 향기를 품고 있다.그리고 아도화상이 도를 닦았다는 좌선대 옆에는 아도의 사적비겸 자운비가 있는데 앞면에는 인조 17년에, 뒷면에는 효종6년에 새긴 아도의 사적이 음각되어 있다.현존 건물은 법당 극락전과 삼성각을 비롯하여 선원과 2동의 요사,그리고 세존진신사리를 모신 적멸보궁(寂滅寶宮)이 있다.

도리사의 창건과 아도화상의 포교활동 
아도는 중국 위나라 아굴마의 아들로 일명 묵호자라고도 한다. 신라 19대 눌지왕때 19세의 나이로 어머니 고씨도령의 명에 따라 고구려로부터 신라에 불교를 전하기 위해 몰래 들어왔다. 당시 고구려와 백제는 이미 불교가 전파된지 오래이나 오직 신라만은 고유의 신앙과 왜래 문물에 배타적이어서 불교 포교에 대한 박해가 심했던 까닭이다. 그는 묵호자란 이름으로 지금의 선산군 도개면 도개동에 와서 앞서말한 모례의 집에 숨어서 낮에는 우곡에서 소와 양을 기르는 목동이 되고 밤에는 많은 사람을 모아 불법의 자비로운 진리를 강론하기를 3년이나 계속하였다. 그때 중국 양나라에서 사신으로 하여금 신라에 향을 예물로 보내왔으나 그 사용 방법을 아는 사람이 없어 걱정 해오던 중 모례가 아도에게 물으니 그것을 불에 태우면 향기가 그윽하여 신성 하기가 이를데 없고 소원을 말하면 반드시 영혐이 있는 법이다.신성이란 참에 지나는 것이 없다.삼보란 불타,달마,승가 즉 부처님의 가르침이시라고 일러 주었다. 그때 나라에서는 성곡 공주가 큰 병이 들어 여러 의원을 불러 온갖 약을 써 보았으나 효험이 없고 날이 갈수록 병은 더해갔다. 마지막으로 아도에게 치료를 청하니 아도는 향을 피우고 불공을 들였다. 그러자 신통하게도 공주는 병이 완쾌 되었다. 왕은 크게 기뻐하여 아도에게 큰 상을 내리고 흥륜사 등 일곱개의 절을 지어 주었다 한다. 그러나 왕이 승하한 후 불교에 대한 박해가 심해 아도는 금수굴(金水窟)이라는 것에 들어가 숨었다. 이 굴은 사람들이 들어갈 수 없는 굴이었으나 아도가 들어간 후 불가에서 불공을 드리는 날이면 등이 환하게 밝혀져 있었다고 한다. 비록 아도의 포교는 성공하지 못했으나 그 공적은 크다.

도리사의 전설
아직 겨울이라기엔 이른 늦가을이었다. 옷은 비록 남루했지만 용모가 예사롭지 않은 한 고구려인이 신라 땅 일선군(지금의 경상북도 선산)에 있는 부자 모례장자 집을 찾아왔다. 
『어떻게 제 집엘 오시게 되었는지요?』
모례장자는 행색과는 달리 용모가 순수한 낯선 객에게 점잖고 융숭하게 대하면서도 일말의 경계를 금할 수 없었다. 
『나는 묵호자라는 고구려 승려입니다. 인연이 있는 땅이라 찾아왔으니 나를 이곳에 묵을 수 있도록 주선하여 주십시오.』
당시는 신라에 불교가 공인되지 않은 때인지라(눌지왕 때) 모례장자는 묵호자의 불법에 관한 설명이 쉽게 납득이 가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전생부터의 인연이었는지 아무래도 낯선 객이 신비스럽고 큰 불도를 알고 있는 대인인 듯하여 지하에 밀실을 지어 편히 지내게 했다.이 무렵. 조정에서는 중국에서 의복과 함께 보내온 향의 이름과 쓰는 법을 몰라 사람을 시켜 나라 안을 두루 돌아다니며 알아보게 했다.이 소문을 들은 묵호자는 사람을 불러 친히 일러줬다. 
『이는 향이라는 것으로 태우면 그윽한 향기가 풍기지요. 만일 이를 태우면서 정성이 신성한 곳에 까지 이르도록 간곡히 축원하면 무슨 소원이든지 영험이 있을 것입니다.』 
그 후. 얼마가 지난 뒤, 나라에서는 묵호자를 청하는 사신을 보내왔다. 
『공주마마가 위독하옵니다. 백방으로 약을 쓰고 의원을 불러 치료를 했으나 전혀 효험일 없어 이렇게 모시러 왔사 오니 어서 궁궐로 함께 가주시지요.』
불법을 펴기 위해 숨어서 때를 기다리던 묵호자는 때가 온 듯 선뜻 승낙하고 서라벌로 향했다. 묵호자는 공주가 누워 있는 방에 들어가 향을 피우고 불공을 드렸다. 그윽한 향기가 방 안에 차츰 퍼져 가득하고 묵호자의 염불이 끝나자 공주는 감았던 눈을 스르르 뜨면서 제정신을 찾았다. 왕은 기뻐하며 묵호자에게 소원을 물었다. 
『빈승에게는 아무것도 구하는 일이 없습니다. 다만 천경림에 절을 세워서 불교를 널리 펴고 국가의 복을 비는 것을 바랄 뿐입니다.』 
왕은 즉시 이를 허락하여 불사를 시작케 했다. 묵호자는 그때부터 숨겨 둔 불명 아도란 이름을 쓰기 시작했다. 아도화상의 어머니 고도령은 중국에서 온 사신 아굴마와 연정이 깊어 아도를 낳게 되었다. 그 후. 아도가 다섯 살이 되자 고도령은 아도를 출가시켰다. 총명하여 어른들의 귀여움을 독차지하던 아도가 16세가 되던 해 어머니 고도령은 아들을 찾아와 모든 사연을 이야기하고는 아도를 중국으로 보냈다. 아도는 중국에 가서 아버지 아굴마를 만나고는 현창화상 문하에 들어가 3년간 공부한 후 고구려로 돌아왔다. 어머니 고도령은 아들을 만나 반가웠으나 내색하지 않고 다시 신라 땅으로 보냈다. 
『신라 땅에는 천경림을 비롯하여 7곳의 큰 가람 터가 있으니 이는 모두 불전(佛前)의 인연지로서 앞으로 불법이 깊이 전해질 곳이다. 그곳에 가서 대교를 전하면 응당 네가 이 땅의 개조가 될 것이다.』
아도는 어머니의 이 같은 가르침을 잊지 않고 수행에 전력하며 불법을 폈다. 그러던 어느 날. 왕이 세상을 뜨고 새 임금이 등장하자 나라에서는 하루아침에 아도화상을 해치려 했다. 아도는 제자들과 함께 다시 모례장자의 집으로 돌아왔다. 그들은 그곳에서 경을 가르치고 설법했다. 많은 신봉자가 따르는 가운데 낮에는 소와 양을 1천 마리씩 길렀다. 그렇게 5년의 세월이 흐른 뒤 아도화상은 행선지도 밝히지 않고 훌쩍 그곳을 떠났다. 모례장자가 가는 길을 물었으나 
『나를 만나려거든 얼마 후 칡순이 내려올 것이니 칡순을 따라오시오.』
라는 말을 남겼을 뿐이었다. 그 해 겨울. 과연 기이하게도 정월 엄동설한에 모래장자 집 문턱으로 칡순이 들어왔다. 모례장자는 그 줄기를 따라갔다. 그곳엔 아도화상이 있었으니 그곳이 바로 신라불교의 초전지인 지금의 도리사 터였다. 
『잘 오셨소, 모례장자. 내 이곳에 절을 세우려 하니 이 망태기에 곡식 두말을 시주하시오.』
아도화상은 모례장자 앞에 작은 망태기를 내놓고 시주를 권했다. 모례장자는 기꺼이 승낙을 하고는 다시 집으로 내려와 곡식 두 말을 망태기에 부었으나 어인 일인지 망태기는 2말은 커녕 2섬을 부어도 차지 않았다. 결국 모례장자는 재산을 다 시주하여 도리사를 세웠다. 모례장자의 시주로 절을 다 지은 아도화상이 잠시 서라벌 나들이를 하고 돌아오는데 절이 세워진 태조산 밑에 때아닌 복사꽃이 만개하여 눈이 부셨다. 아도화상은 이에 절 이름을 「도리사」라 칭했고 마을 이름을 도개마을이라 했다. 도리사에서는 지난 1976년 세존진신사리탑을 복원 하던중 금동육각사리함(국보208호)과 그 속에 부처님 진신사리 1과가 출현해 전국 불자들이 구름처럼 몰려와 친견하고 세인들에게 화제가 됐다. 지금도 도리사 인근 마을에 가면 양과 소 천 마리를 길렀던 곳이라 해서 「양천골」「우천골」이라 부르고, 도개동 윗마을에는 외양간이 있었다 해서 「우실」이라 부른다. 또 모례장자의 집터는 「모례장자터」 그리고 유뮬운 「모례장자샘」이라 하는데, 모례장자 샘에서는 지금도 맑은 물이 샘솟고 있다. 이 마을에서는 긴 화강암을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엇갈리게 짜 맞추어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