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부동일별기

구슬은 서말이지만 상세보기

구슬은 서말이지만

조회 1157

부동

파일
구슬은 서말이지만

요즘, ‘없다’, ‘부족하다’는 말의 주어는 대개 ‘콘텐츠’가 차지한다. 그 중에서도 ‘문화콘텐츠’부족현상이 자주 도마에 오른다. 그래서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한 문화도시 대구는 늘 목말라 한다. 이런 기갈현상은 특히 토종문화콘텐츠가 부족하기 때문에 생긴다.

올해 2010년을 손꼽아 기다려온 사람들이 많이 있을 것 같다. 그건 2010년이 축제, 공연, 전시 등 문화콘텐츠 생산에 많은 모티프를 주는 한 해가 될 것 같다는 느낌 때문이다. 기념비적인 역사만 하더라도, 경술국치 100년-한국전쟁 60년-4.19 50년-광주민주화 30년으로 이어진다. 어느 지역 가릴 것 없이 방송과 신문에서는 전국을 이 잡듯이 누비며 엄청난 특집방송, 특별기획, 스페셜들을 쏟아낼 것이다.

어떤 경쟁력 있는 토종콘텐츠의 탄생을 우리는 기대할 수 있을까.

올해는 한국전쟁 60주년이 되는 해이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으로 50주년은 그냥 지나간 듯 하지만, 올해는 반전, 화해, 관용의 메시지가 담긴 다양한 토종문화콘텐츠의 탄생을 기대한다. 혹시 잊고 살았는지는 모르지만, 대구와 6.25는 떼놓고 생각할 수 없는 개체다.

대구는 한국전쟁60년을 문화콘텐츠로 만들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도시다. 가난과, 어둠, 상처 등이 만들어낸 그 당시의 르네상스를 어떻게 그냥 묻어둔단 말인가.

김원일씨의 대표작, <마당 깊은 집>이 뮤지컬작품으로 무대에 오르면 좋겠다. 골목투어의 소재로 쓰이는 것을 넘어, 주인공 길남이가 전해주는 ‘가난과 고생이 만든 삶의 에너지’를 많은 사람이 느끼게 되었으면 좋겠다. <올리버>, <레 미제라블>을 넘어서는 감동과 구성력을 가질 것이다.

한국전쟁 당시에 발표된 가요도 재조명되었으면 좋겠다. 전쟁 중에 대구에서 발표된 주옥같은 노래들은 다시 바르게 알려져, 새롭게 주목받아야 하고, 특히, <미사의 노래(가수 이인권)>에 얽힌 실화의 순애보는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탄생으로 이어질 것이다.

또, 올해 데뷔40년을 맞은 가수 이동원씨도 북측의 테너와 함께 남북을 오가며 국민가요<향수>를 부르겠다는 희망을 갖고 있다. 청도에 살고 있는 그의 희망을 우리의 토종콘텐츠로 만들어 볼 수는 없을까.

그렇지만, 올해도 6월까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 남아공월드컵으로 정신이 없을 것 같고, 후유증까지 걷힐려면 여름도 훌쩍 가버릴 것 같다. 그래서 큰 기대는 하지 않지만, 한국전쟁이 전후의 유산으로 양키시장(도깨비시장)을 대구에 남겼듯이, 문화전쟁이 치뤄지는 요즘, 대구의 문화판이 자칫 문화양키시장이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자꾸만 생긴다.

시간이 없다. 문화유산은 문화산업을 위한 자본이다. 이렇게 핑핑 돌아가는 세상에 돈이 되는 것을 이렇게 묵혀두고 있는 사람들이 어디에 있단 말인가. 서말의 구슬은 있는데, 누가, 무엇 때문에 꿰지 못하는 것일까. 아무리 맛난 음식이라도, 먹기만 하겠다는 심사인가.

댓글 (0)

댓글 등록

입력된 글자수 0 / 3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