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부동일별기

팔공산은 화두(話頭)다 상세보기

팔공산은 화두(話頭)다

조회 1261

부동

파일
팔공산은 화두(話頭)다

대구의 진산, 중악 팔공산은 나에게 화두다.

공안이라 불리는 화두란 의단(疑團)이라는 또다른 이름을 갖고 있다. 그 의단이란 바로 다름 아닌 의심덩어리. 화두는 의단을 일으켜야 활구가 되는 법. 그러므로 불가의 선객들이 자기 한 생애를 불살라 가며, 면벽참선으로 화두를 틀어쥐고 성불을 향한 돈오(頓悟), 확철대오(廓徹大悟)를 갈구하는 것 아닌가. 1400년 전부터 대구라는 이름의 도시를 지켜온 산. 그로 인해 대구사람은 묘한 뉘앙스를 풍기는 분지(盆地人)라는 또하나의 별명을 얻어 살아왔다. 분지인인 나는 언제나 팔공산을 바라보면 의단이 밀려온다.

내가 생각하는 그 의단의 하나하나는 이렇다.

몽고란에 소실되었다고 전해지는 팔공산 부인사의 초조대장경. 이 엄청난 문화유산이 100년 이상 봉안되었던 그 장경각(대장전)의 유허지는 어디인가? 여러 학자들이 오래전부터 유허지로 비정해 온 곳을 당국에서 담박에 드러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러면서도 2011년이 되면 초조대장경 밀레니엄을 대대적으로 기념하겠다는 숨은 뜻은 무엇일까?

또다른 하나의 의심은 운해사(雲海寺)다. 재조대장경이 완성된 후, <삼국유사>를 지은 일연스님이 공산 (公山) 운해사에서 선교의 대덕(大德) 1백 명을 모아 대장경낙성회(大藏經落成會)를 개최했다’는 군위 인각사 일연선사비문의 기록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공산이란 이름은 전국에서 팔공산이 유일하지만, 그 어디에서도 흔적은 찾을 수 없다. 다만, 비슬산(포산)에 있으면서 침략자에게 유린당하는 초조대장경의 모습을 비통하게 지켜봤으리라 짐작되는 일연선사가 초조대장경의 인연처 가까운 곳에 법석을 열었으리라 짐작만 할 뿐이다. 지금은 은해사 위 운부암(雲浮庵)과 그 옛날 홍수에 쓸려갔던 해안사라는 절이 있었던 해안평(海眼坪)만 휑하니 남아 있을 뿐, 그 인연의 고리만 알면 많은 것이 저절로 풀려진다.

나머지 하나, 부인사에 있던 원래의 선덕묘를 숭모전으로 그 이름까지 바뀌면서까지 선덕여왕을 100여년 동안 팔공산 기슭의 사찰에서 모시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왜 국내에서 유일한 선덕여왕 영정을 두고, 왜 굳이 불교사찰에서 모셔지며, 무엇 때문에 많은 이들에게 오랫동안 부처와 같은 공경을 받아온 것일까? 모든 걸 그렇게도 잘들 베끼면서, TV드라마가 그렇게 선풍을 일으켜도, 팔공산자락이 품고 있는 이러한 사실들에는 도대체 공적(公的)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은 무슨 이유에서 일까?

이 한량없는 문화콘텐츠의 보고를 도저히 그냥 지나칠 수 없어 더 마음이 저려온다.

하지만, 공부에는 왕도도 없고, 지름길도 없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가슴 터져버릴 듯 밀려오는 의심을 어쩌란 말인가. 그 누구도 시원하게 가르쳐줄 수 없다면, 우리 모이는 자리에서 서로를 스승 삼아 진지한 법거량(法擧量)이 해봐야 하는 것 아닌가. 문득, 팔공산에서 몰려오는 ‘의심덩어리’를 풀어버릴 때, 또하나의 큰 이적(異蹟)을 이루게 될 거라고 나는 믿는다. 그리하여, 아쉬운 이가 샘을 파듯, 비장의 역사를 참구하여 대구가 확철대오하는 그 날은 과연 언제일까.

댓글 (0)

댓글 등록

입력된 글자수 0 / 300자